분류 전체보기(24)
-
AWS IAM 사용자 만들기
IAM 이란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의 약자로써 사용자 및 접근 관리 이다. IAM 을 사용해야하는이유는 회사에서 모든 직원한테 모든 권한을 주면 당연히 문제가 생길수도 있음으로 각 업무를 담당한 사람에게 최소한의 권한만을 주는것이 안전하다. 이외에 여러가지 기능도 있지만 오늘은 IAM 사용자를 만들어 AWS CLI로 로그인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우선 AWS 콘솔로 로그인을 한후에 상단 검색창에 IAM 이라고 입력하면 IAM 서비스로 이동가능한 창이 나온다. 들어가서 좌측 사용자로 들어간다. 그후 상단에 사용자 추가 클릭하면 밑에 그림처럼 나온다. 사용자 이름은 자신이 원하는 이름을 적으면되고 AWS 엑세스 유형선택은 좀 알아둘 필요가있다. 간단히 얘기해서 - 프로그래밍..
2021.05.21 -
콘솔에서 AWS EC2 생성
AWS EC2 를 생성하기위해 EC2의 네트워크를 설정해줄 필요가 있다 오늘 만들어볼 EC2는 가장 쉽게 콘솔에서 만들어 볼것이며 무언가를 테스트 할때 간단하게 만들수 있는 ec2 환경 구축 그림을 보면 우선 가장 큰틀에는 VPC가 있다 VPC란 Virtual Private Cloud 의 약자이다. 간단히 말해 아마존의 가상 네트워크이다. 사용자는 아마존 가상네트워크(VPC) 에서 AWS 리소스를 시작할수 있도록 AWS 클라우드의 논리적으로 공간을 프로비저닝 한것이다. VPC 내부에는 Public subnet이라는 서브넷이 존재한다. 우리가 VPC의 CIDR를 지정했다면 그 내부에 사용가능한 IP를 분리해 Public subnet 또는 Private subnet 등으로 나눌수 있다. 또한 CIDR를 각기..
2021.05.20 -
Terraform 설치
테라폼은 hashicorp 사에서 만든 툴이며 밑에 사이트에 들어가서 어떠한 버전들이 있는지 확인가능. https://releases.hashicorp.com/terraform/ Terraform Versions | HashiCorp Releases releases.hashicorp.com 자기가 원하는버전으로 클릭해서 들어가면 각 OS맞게 정리가 되어있음 이중 linux에서 설치할꺼기 때문에 linux_amd64.zip 를 복사해서 커널에 wget https://releases.hashicorp.com/terraform/0.12.29/terraform_0.12.29_linux_amd64.zip 명령어로 설치 진행 ls 명령어로 테리폼이 잘 설치 됬는지 확인후 압축풀기 unzip terraform_0.1..
2021.05.19 -
AWS Cli 설치
AWS Amazon-Linux EC2에서 aws버전을 확인해보면 1.18버전이 설치되어있다 하지만 더 높은버전이 있기때문에 높은버전을 다운로드 aws cli 설치 # Linux x86 (64-bit) curl "https://awscli.amazonaws.com/awscli-exe-linux-x86_64.zip" -o "awscliv2.zip" 다운받은 zip 파일 압축해제 unzip awscliv2.zip 그럼 aws디렉터리가 만들어진것을 확인 가능 zip 파일은 삭제하고 ls 명령어로 aws 디렉터리 내부를 확인하면 install 이라는 파일이 있는것을 확인후 실행 rm -f awscliv2.zip ; sudo ./aws/install 다시 버전을 확인하면 버전이 2.2.5로 업데이트 된것을 확인 가능
2021.05.17 -
리눅스 기초( 경로 )
윈도우에서 아래 그림처럼 바탕화면에 test1 폴더를 만들고 그밑에 test2를 만들고 그밑에 test3을 만들어서 test1 에서 2로 넘어갔다 3으로 넘어갔다 2로 넘어갔다 왔다갔다 할수있다 하지만 리눅스 cli환경 에서는 명령어로 해야한다. (cli 란 명령줄 인터페이스 라는뜻 한마디로 마우스가 아닌 명령어로 조작을 해야된다는 뜻) 리눅스 환경에서 test1 밑에 2를 만들고 3을 만들어서 왔다갔다 해보기전에 "절대경로" 와 "상대경로" 가 있음 절대경로 항상 / 부터 시작함으로 최상위 위치에서 적어줘야함 ( 기준이 / 로 됨) 상대경로 기준이 현재 위치에서 시작한다 시작 하기 위해서 root 사용자 홈디렉터리로 이동후 디렉터리를 만들어서 실습 cd ~
2021.05.15 -
Linux 기초
파일의 종류 1) 일반파일 일반파일이란 텍스트파일, 실행파일(바이너리파일) 이미지파일 등 일반적인파일을 뜻함 2) 디렉터리 파일들을 정리하여 정렬하는 파일 3) 장치파일 하드디스크나 키보드 같은 장치도 파일로 취급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기본적으로 root 로 조작하는것은 보안상 좋지 못하지만 실습을 위해 root 로 진행 처음 리눅스에 root로 로그인을 하게되면 밑에 그림처럼 [root@hello-world ~]# 형식으로 나올것이다. 이거는 [현재 사용자 @ 호스트네임 (현재 위치)] 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user1 사용자가 호스트네임을 hi 로 설정하고 etc 디렉터리에 있다고 하면 [user1@hi etc]# 이라고 나올것이다...
2021.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