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기초

2021. 5. 15. 23:15리눅스

파일의 종류

 

1) 일반파일 

일반파일이란 텍스트파일, 실행파일(바이너리파일) 이미지파일 등 일반적인파일을 뜻함

 

2) 디렉터리

파일들을 정리하여 정렬하는 파일

 

3) 장치파일

하드디스크나 키보드 같은 장치도 파일로 취급함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기본적으로 root 로 조작하는것은 보안상 좋지 못하지만 실습을 위해 root 로 진행

 

 

처음 리눅스에 root로 로그인을 하게되면 밑에 그림처럼 [root@hello-world ~]# 형식으로 나올것이다. 

이거는 [현재 사용자 @ 호스트네임 (현재 위치)] 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user1 사용자가 호스트네임을 hi 로 설정하고 etc 디렉터리에 있다고 하면 [user1@hi etc]# 이라고 나올것이다.

 

ls 명령어는 현재 위치한곳에 어떠한 파일들이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혹시 root@hello-world 뒤에 / 가 아닌 ~ 가 있으면 cd / 라는 명령어를 치면 위에 그림처럼 나올겁니다.

 

 

 

 

파일을 종류

파일명 설명
/dev 장치 파일이 담긴 디렉터리
/home  * 사용자를 추가 하면 /home 디렉터리 하위에 디렉터리가 생성됨
ex) user1 사용자 추가시 /home/user1 이라는 디렉터리가 생성되며 user1사용자의 홈디렉터리
/meida 시디룸 같은 외부장치를 연결하는 디렉터리
/opt 추가 패키지가 설치되는 디럭터리
/root root계정의 홈디렉터리
/sys OS관련된 파일들이 내장되있는 디렉터리
/usr  * 기본 실행파일과 라이브러리파일 등을 갖고있는 디렉터리
/usr/bin  * 명령어들이 담겨있는 디렉터리
/etc  * 각종 리눅스의 환경설정을 위한 파일이 저장되어있는 디렉토리
/mnt 파일 시스템을 임시로 마운트하는 디렉토리
/tmp  * 시스템 사용중에 발생하는 임시데이터가 저장됨 / 재부팅하면 모두 삭제됨
/var  * 로그 데이터, 임시파일 등 가변데이터들이 저장되는 파일

*들어간거는 네트워크 관리사2급 에 가끔 나오는 문제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초( 경로 )  (0) 2021.05.15